이런저런이야기
위의 연구들을 볼 때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 중학교 국악 수업이 어떠한 내용으로 실행되고
조현정팀장
2018. 7. 3. 12:39
는 국악 교육계의 전체 문제이고 우리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계승하는 문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교과서에 수록할 국악 가창곡의 악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위의 연구들을 볼 때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 중학교 국악 수업이 어떠한 내용으로 실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더 나아가 교과서의 국악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오류 내용을 찾아내어 수정 및 보안의 논의를 제시하여 국악 교육내용의 정확성 및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과서 분석에서 함축하고 있는 바는 교과서가 중학교 국악수업에 있어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국악수업 지도안 제안 연구를 살펴보면 총 26편으로 가창 영역에 관한 연구가 10편, 기악 영역에 관한 연구 2편, 감상 영역에 관한 연구 3편, 통합 수업에 관한 연구가 9편이 있었으며, ICT 활용에 관한 연구가 2편 있었다.
국악 가창 영역의 연구는 판소리, 민요, 가곡, 가사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판소리는 고수와 창자, 청중이 함께 만들어내는 예술로 소리, 아니리, 17)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