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국악 장단은 자연스럽게 서양음악과 국악이 리듬에 있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국악 장단은 첫 박이 강하게 들어 가고 일정한 리듬 속에 다양한 변형 리듬을 구사하여 표현할 수 있다. 즉, P교사는 국악장단 3분법에 대한 리듬을 이해시킨 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국악 리듬의 3분법에 대한 이해를 변형 장단을 구사할 수 있도록 직접 연주를 해봐야 한다고 한다. 일명 월드컵 박수라고 하는 ‘대한민국 박수’를 치며 국악 장단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국악수업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한다. P교사가 기악 영역에서 장단내용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표현하였다면, J교사는 창의성이 있는 국악수업 내용을 가창 영역 중 민요 아리랑 곡을 노래 익히기뿐만 아니라 장구로 세마치장단을 이해하며 몸동작을 겸한 창의적 표현활동을 할 수 있는 수업내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이런저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을 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국악교육 양이 많아지고 (0) | 2018.07.21 |
---|---|
기록하면서 자료를 다시 해독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두드러진 영역을 (0) | 2018.07.18 |
국악수업’으로 표현된 내용은 ‘창의성이 샘솟는 국악수업’으로 총괄해 볼 (0) | 2018.07.16 |
식과 관련한 위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국악수업의 주체자로서 음악교사 (0) | 2018.07.06 |
위의 연구들을 볼 때 교과서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 중학교 국악 수업이 어떠한 내용으로 실행되고 (0) | 2018.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