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연구 내용
본 논문은 중국 환경범죄에 관한 형법규정의 실체,이론과 운용에 있어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 등에 관하여 비교법적 시각과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 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정한다.본 논문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중국 환경형법에 대하여 고찰한다.환경형법에 대한 사적 고찰로부터 시작하여 현행법상의 환경범죄 규정과 판례태도를 포함하여 체계 적으로 고찰한다.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현행법상 환경범죄의 법원 무엇인지 해명하고 환경형법의 입법내용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검토와 연구를 진행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 환경범죄에 대하여 고찰한다.한국 환경범죄의 입법체계를 중심으로 판례의 입장을 살펴본다.이러한 고찰의 목적은 한국 환경범죄의 입법체계가 가져다주는 문제점과 시사점을 기초로 하여 향후 중국환경범 죄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제4장에서 죄형법정원칙에 의하여 앞에 제시한 중국과 한국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제5장은 이 논문의 결론으로,제1장에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고찰 내용과 결과를 간단히 정리한다.
'이런저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민공사는 지역 및 시기에 따라 그 규모에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20∼30호로 이루어지는 생산대(生産 隊),10개 내외의 생산대로 이루어지는 (0) | 2017.07.30 |
---|---|
환경오염문제는 너무 심각 하였고 환경오염에 대한 단속은 세계의 중점이 되었다.국가와 국민에 재앙을 가져다 (0) | 2017.07.29 |
고체폐기물임의수입죄(중국형법,제339 조),④불법수산물포획죄(중국형법 제340조 (0) | 2017.07.26 |
구체적인 범위를 확대하고, 오염물질의 불법배출로 인해 얻은 이익을 국가에 (0) | 2017.07.25 |
구성요건해당성 판단에서는 환경행정법의 규정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이른바 (0) | 2017.07.24 |